전기요금 부담을 느끼고 있다면, 정부 및 지자체의 에너지 절약·복지 지원 프로그램을 꼭 확인하세요. 2025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자, 저소득층, 장애인, 다자녀 가구, 한부모 가정 등이 다양한 재정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1. 에너지 바우처 – 냉·난방비 지원 제도
- 지원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, 장애인, 임산부, 노인, 영·유아, 한부모, 만성질환자 등
- 지원 금액(2025년 기준):
- 1인 가구: 295,200원
- 2인 가구: 407,500원
- 3인 가구: 532,700원
- 4인 이상: 701,300원
- 사용 방식: 여름은 전기요금 고지서 자동 차감 / 겨울은 전기 또는 도시가스 선택 후 요금 차감 또는 국민행복카드 사용 가능
- 신청 기간: 2025년 6월 9일 ~ 12월 31일 (사용 기간: 2026년 5월 25일까지)
2. 전기요금 감면 – 소득 기준 매월 할인 제도
- 감면 대상: 중위소득 50~60% 이하 가구 (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, 장애인, 한부모 등)
- 감면 수준:
- 기초생활수급자 → 최대 월 16,000원
- 장애인 및 차상위 → 월 8,000~12,000원
- 다자녀 가구 → 기본요금 및 사용량 요금 약 30% 감면
- 신청 방법: 한국전력(123), 정부 24, 복지로, 읍면동 주민센터 등
- 적용 시점: 신청 후 다음 고지서부터 자동 적용
3. 고효율 가전 환급 – 복지 대상 가구 전용
- 대상: 전기요금 복지 감면 대상자
- 환급 품목: 1등급 에너지효율 가전 (에어컨, 냉장고, TV, 공기청정기 등)
- 환급 금액:
- 장애인·기초수급자 → 30% 환급
- 다자녀 가구 → 15% 환급
- 최대 30만 원 환급
- 신청 기간: 2025년 2월 17일 ~ 12월 31일 (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)
4. 소상공인 전기요금 특별지원
- 대상: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소상공인
- 내용: 2024년 한시 운영 후 2025년 신청 조건 별도 확인 필요
📌 요약 비교표
제도명 | 대상 | 혜택 | 신청 방법 |
---|---|---|---|
에너지 바우처 | 기초수급자, 장애인 등 | 최대 701,300원 냉·난방비 지원 |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|
전기요금 감면 | 저소득, 다자녀, 장애인 등 | 최대 월 16,000원 감면 | 한전/정부24/복지로 |
고효율 가전 환급 | 전기요금 감면 대상자 | 가전 구매 시 최대 30만 원 환급 | 온라인 신청 |
소상공인 지원 | 소상공인 | 한시적 전기요금 지원 | 별도 신청 기준 확인 |
✔️ 신청 팁
- 조건에 해당하면 꼭 신청하세요: 자동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직접 신청 필수!
- 신청 마감일 확인: 각 제도마다 신청 기간 다름
- 복수 제도 중복 가능: 에너지바우처, 감면, 환급 모두 함께 가능
- 온라인 신청이 편리합니다: 정부 24, 복지로, 한전 통해 빠르게 신청 가능
✅ 결론 – 전기요금, 부담만 있는 건 아닙니다!
2025년부터 정부는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더 강화하고 있습니다. 기초생활수급자, 저소득층, 장애인, 다자녀 가구라면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한 달 수만 원 절약, 생각보다 간단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